오뚜기 마라라면 마슐랭 기대보단 별로

2025. 1. 10. 13:58음식 사먹고 해먹고 배달시키고

 

그 유명한 마라탕 이제 체인점도 가지가지다 손오공마라탕 춘리마라탕 탕화쿵푸마라탕 등등 온갖 중국감성 생각나는 이름 붙여서 파는 체인점만 수두룩하다 막상 둘러봤을때 보면 대부분 비슷한 재료에 간판만 다른 감성팔이 마라탕 가게들, 지금도 유행이지만 한참 유행일때 한번 먹어볼까 하다가도 왠지 중국풍 나는 그 시큼한 냄새와 특히 재료공급처의 비위생적인 일부 기사들을 보고나니 먹고 싶은 생각은 싹 사라졌었다

 

집에 라면도 다 떨어지고 항상 전시?상태인 우리나라 상황을 고려할때 라면 한박스 정도는 쟁겨놓는 습관이 있어 쿠팡에서 조회하다 우연히 발견한 마라탕 라면 한박스짜리 도시락 사면 사고 6개 낱개로도 팔길래 같이 주문했다

쿠팡의 장점 소량도 무료배송 그리고 아직 맛이 검증되지 않아 한박스씩 사기엔 부담이 있어 도시락 라면 한박스랑 6개짜리 낱개를 같이 구매했다

 

특히나 겨울에 뜨겁고 매운궁물이 땡기는데 대표적인게 짬뽕이지만 시켜먹으려고보니 과하게 오른 가격과 쿠팡 배민커넥트 알바를 할때 일부 비위생적인 중국집 주방을 본걸 생각하니 그래도 공장에서 깔끔한 위생으로 밀봉 포장된 라면으로 대체했다 역시나 라면이라 엄청난 하루 나트륨 함량 한컵만 먹어도 무려 하루 나트륨 섭취량 90%다

 

프는 가루가 아닌 액상스프에 기름 진짬뽕처럼 액상스프가 먼가 잘 녹고 가루 뭉치는게 없으니 난 더 좋다

 

원래는 뜨거운물은 선까지 부어야 했으나 아까 본 엄청난 나트륨 함량을 보고 5밀리 정도 더 채워 부었다

 

 

실제 사먹는 마라탕보다 역시 가격도 그렇고 건더기는 많이 부실하기에 집에 있는 파와 계란을 별도로 넣었다

마라탕가게 가보면 그 수많은 소세지 버섯등에 비하면 가격이 그러니 이해한다

 

그리고 냉장고에 넣어놨던 슈크림빵을 뚜껑위해 올려논 이유는

차가운 빵을 전자렌지 돌리는거보다 자연스런 열로 천천히 녹이는게 더 낫기 때문이다

전자렌지 강도 조절 못해서 안에 크림 다 녹고 난리나는것도 그렇고 급하게 해동한건 맛이 없다

뚜껑열림도 막아주고 빵도 자연스럽게 녹여주고 좋다

 

맛 평가 건더기는 그렇다 치는데 그래도 궁물은 진할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맹숭하다 물 5밀리정도 더 높게 넣어서 그럴수도 있지만 생각보다 맛없었다 다음엔 물 조금 넣어보고 먹어볼 생각이긴 한데 너무 기대해서 그런지 그냥 그랬다 특유의 그 마라탕의 냄새는 나는거 빼곤 걍 마라탕 흉내낸 마라라면이었다

비판하는게 그렇긴한데 가격도 있고 당연한거였다 궁물이라도 진했음 좋았을텐데 갠적으로 진짬뽕 궁물이 훨 진하고 난거닽다

너무 기대했다 어제 쿠팡로켓배송으로 낮에 도착하면 먹을려고 했는데 저녁늦게 와서 이미 저녁을 먹은상태라 오늘 일어나자마자 바로 라면으로 먹었는데 걍 이렇다 다음엔 원래 절취선데로 물넣고 먹어봐야겠다

* 마라탕의 기원 (참고로 지금 소개한 오뚜기 마슐랭은 마라탕아님)

짝퉁의 세계 중국에서 짝퉁 마라탕을 만든 마슐랭 아니 마슐랭은 걍 라면이었다

마라탕(麻辣烫)은 중국 쓰촨(四川) 지방에서 유래된 매운 국물 요리로, 그 기원은 간단한 길거리 음식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마라탕의 이름은 **'마(麻, 얼얼한 매운맛)'**와 '라(辣, 매운맛)', 그리고 **'탕(烫, 뜨거운 국물)'**에서 유래하며, 직역하면 '얼얼하고 매운 뜨거운 국물'이라는 뜻입니다.

기원

마라탕은 청나라 시기, 쓰촨성에서 노동자들, 특히 나룻배를 타던 뱃사람들과 부두 노동자들 사이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들은 저렴하고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을 원했기 때문에, 강가에서 채집한 재료(야채, 버섯, 고기 등)를 끓는 물에 데쳐 먹던 방식이 발전하여 오늘날의 마라탕으로 변했습니다.

쓰촨 지방 특유의 **화자오(花椒)**와 고추를 사용해 매운맛과 얼얼한 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며, 초기에는 단순한 길거리 음식이었지만 점차 지역적인 특색을 가진 요리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현대의 마라탕

현대의 마라탕은 쓰촨 지역의 전통을 바탕으로 다양한 지역적 변형이 가미되면서, 중국 전역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게 되었습니다. 선택형 요리 방식(손님이 재료를 골라 조리하는 방식)이 도입되면서 더욱 대중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재료와 조리법이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마라탕은 현재 단순한 음식 그 이상으로, 쓰촨 음식 문화의 대표적인 상징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